1. 동적 타이핑
자바스크립트는 loosely typed 언어, 혹은 동적 언어이다.
변수의 타입을 미리 선언할 필요가 없는 언어이다.
타입은 프로그램이 처리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정해진다.
또한 그 말은 같은 변수에 여러 타입의 값을 넣을 수 있다는 뜻이다.
출처 : [JavaScript MDN]
1-1 데이터 타입
데이터 타입은 typeof 를 사용하여 알아볼 수 있다.
자바스크립트에서 type으로 구분 되는 데이터 종류로는
number , boolean , string , undefined , object 가 있다.
number (숫자형)
값에 숫자만 있다면 자동으로 타입은 number로 인식한다.
자바스크립트에서는 숫자형 같은 경우는 정수든 소수든 전부 number 로 인식한다.
boolean (자료
형)
boolean 형은 자료형이라고 하는데, 주로 참과 거짓을 나타내는 데 쓰인다.
참은 1, 거짓은 0에 대응하며, 숫자를 쓰지 않고 참과 거짓을 나타내는 영단어 true와 false를 쓰기도 한다.
string (문자형)
값에 "" 로 감싼 경우 문자열로 인식한다.
"" 에 감싼 값이 숫자더라도 문자열로 인식하기 때문에 숫자형에서의 연산이 적용이 되지 않는다.
문자열로 인식하기 때문에 string2 값인 123에 string3 값인 4를 더할 경우 값이 127이 아닌 문자 "123" + 문자 "4" 의 합인 1234가 출력 되게 된다.
object (객체)
배열이나 빈 데이터 값을 오브젝트(객체) 로 인식을 하게 된다.
new Date(); 는 빈 배열을 생성 한 값이고,
null 은 값이 비어있다는 (의도적으로 생성이 되지 않은 적용할 수 없는 값이라는 의미) 뜻인데 이 경우에도 오브젝트로 인식을 한다.
undefined
값을 할당하지 않은 변수나 값을 의미하는데 null과 다르게 undefined는 자료형 구조에 값이 비어있는게 아니라 존재하지 않는 값이라는 의미로 인식하고 지정하게 된다.
- 값을 할당하지 않은 변수
- 메서드와 선언에서 변수가 할당받지 않은 경우
- 함수가 값을 return 하지 않았을 경우
'STUDY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Script] 연산자(2) (0) | 2022.11.27 |
---|---|
[JavaScript] 연산자(1) (0) | 2022.11.27 |
[JavaScript] 상수(const) (0) | 2022.11.27 |
[JavaScript] 변수(let , var) (0) | 2022.11.27 |
[JavaScript] JS 사용하기 (0) | 2022.11.27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