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분투 리눅스 명령어 정리
세팅 후 기본 루트 설정
기본적인 세팅 한 후 root로 들어가려면, 비밀번호를 설정 해줘야 한다.
sudo passwd root
루트로 이동하기
sudo su root
sudo su
현재 위치에서 빠져나오기
exit
계정생성 ( root 위치에서 )
로 되어 있으면 root 위치라는 뜻 기본 값은 $이다.
자동 설정
계정이름이 설정이 안된다면 —force-badname 를 붙혀준다.
adduser [계정이름]
adduser [계정이름] —force-badname
수동 설정
useradd [계정이름]
useradd -옵션 추가 [계정이름]
수동 설정 옵션
- c 계정설명, 대부분 사용자명 입력, finger 명령어로 확인 가능한 간단한 사용자 설명
- d 사용자 홈디렉토리 경로 설정
- m 사용자 홈디렉토리 생성 -e 사용자 계정의 사용 종료 일자
- f 사용자 계정의 유효 기간 (ex: -f 180 계정 생성일로부터 180동안만 사용가능)
- g 사용자 계정의 로그인 그룹
- G 사용자 계정의 추가 들록 계정의 그룹명
- p 사용자 계정의 패스워드
- s 사용자 계정의 로그인 쉘
- u 사용자 계정의 UID
유저삭제
계정만 삭제
$ sudo userdel [계정이름] $ sudo deluser [계정이름]
디렉터리도 삭제
$ sudo userdel -rf [계정이름] $ sudo rm -r /home/[계정이름]
옵션
-r : 계정 삭제 시 홈 디렉터리를 포함한 모든 정보를 삭제 -f : 강제 삭제
로그인 변경
su -l [계정 이름]
전체 목록 확인
cat /etc/passwd
아이디만 짤라서 확인
cut -f1 -d: /etc/passwd
useradd 를 통해 등록된 계정만 확인
grep /bin/bash /etc/passwd
useradd 를 통해 등록된 계정 아이디만 짤라서 확인
grep /bin/bash /etc/passwd | cut -f1 -d:
계정정보 확인법
tail /etc/passwd
(예시) 202234-154236:x:1001:1001:202234-154236,202234-154236,,:/home/202234-154236:/bin/bash
202234-15423 (username) x (password) 1001:1001 -> 유저 id (uid) : 그룹 id (gi) /home/202234-154236 -? 사용자의 홈디렉토리 /bin/bash -> 사용 쉘
기본쉘 변경하기
chsh -s/bin/쉘 name
vi 편집기 이동 명령어
vi
파일 생성
vi [파일이름] vi 로 들어간 후 나올 때 :wp [파일명]
입력모드 단축키
i - 현재 커서 위치 부터 a - 현재 커서의 다음 칸 부터 o - 현재 커서의 다음 줄에 입력 s - 현재 커서 위치의 한 글자를 지우고 입력
I - 현재 커서 줄의 맨 앞 부터 입력 (shift + i) A - 현재 커서 맨 마지막부터 입력 (shift + a) O - 현재 커서 의 이전 줄에 입력 (shift + ㅇ) S - 현재 커서의 한 줄을 지우고 입력 (shift + s)
입력모드 나가기 esc
저장후 종료 :wq
'KNOU > UNI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UNIX시스템] 프로세스 관리 (0) | 2022.11.30 |
---|---|
[UNIX시스템] 파일시스템 관리 (0) | 2022.11.30 |
[UNIX시스템] 텍스트 편집 (0) | 2022.11.30 |
[UNIX시스템] 사용자 관리 (0) | 2022.11.30 |
[UNIX시스템] 셸 기본명령어 정리 (0) | 2022.11.30 |
댓글